부농이의 시시콜콜한 이야기

다양한 생활 정보를 공유합니다

  • 2024. 3. 27.

    by. 강부농

    목차

      반응형

      팔꿉관절 주위 골절의 종류를 알아보고 그에 맞는 물리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팔뼈 원위 끝 골절

      위팔뼈 뼈몸통 끝부분에 발생하며 관절 내 골절과 관절 외 골절로 분류됩니다.

      부상기전은 팔꿈관절을 편 상태에서 손을 짚는 형태에서의 넘어짐이나 팔꿉관절에 대한 직접전달 외력입니다. 합병증으로서는 팔꿉관절 탈구, 신경 손상 (정중신경, 자신경, 노신경), 혈관손상 (위팔동맥) 등이 있습니다. 정형외과적 치료는 보존요법, 경피적 핀 고정, 수술적 뼈 접합술, 창상부위 밖 고정 등이 있습니다.

       

      팔꿈치머리 골절

      자뼈 근위부분에 발생하고, 관절내외, 전위의 유무 등으로 분류됩니다. 뼈의 상태에 따라서 가로골절 (횡골절), 빗골절 (사골절), 으깸골절 (분쇄골절) 등으로 분류됩니다.

      부상기전은 직접 전달 외력 또는 팔꿉관절 굽힘 위치에서의 넘어짐에 의한 위팔세갈래근의 수축입니다. 합병증으로서는 자신경 손상, 갈고리돌기 (구상돌기) 골절, 안쪽곁인대 (내측측부인대) 손상 등이 있습니다.

      정형외과적 치료는 보존요법, Kirschner강선을 사용한 긴장대 강선 고정술 (TBW)이 있습니다.

       

       

       

       

      팔꿉관절 주위 골절 물리치료
      팔꿉관절 주위 골절 물리치료

       

       

      팔꿉관절 주위 골절 물리치료

      팔꿉관절은 팔을 사용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어깨관절과 손목관절, 손가락을 연결시키는 관절입니다.

      해부학적 특징으로서는 완척관절, 완요관절, 근위요척관절의 3개 관절로 구성되는 복합관절이며 뼈의 형태상 매우 적합성이 좋은 관절입니다.

      관절주머니는 얇아 기계적 스트레스에 의해서 손상되기 쉽고 흉터가 생기기 쉽습니다.

      이 때문에 골절에 의한 뼈 형태의 파 탄이나 관절주머니의 흉터화로 가동범위 제한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 안정기의 물리치료 ]

      손가락, 손목관절, 어깨관절에 시행합니다.

      손가락, 손목관절은 능동운동으로 가능한 범위에서 시행하며 서서히 수동운동으로 옮겨갑니다.

      어깨의 능동운동은 팔꿈치보다 먼 쪽의 자체 중량이 있기 때문에 최초에는 흔들이 운동이나 환부 쪽 팔을 껴안으면서 능동보조운동으로 시행합니다. 또한 위 팔뼈 원위끝 골절은 골절 부분에 부담이 가해지기 때문에 어깨관절의 안쪽/가쪽돌림은 시행하지 않습니다.

       

       

      [ 관절가동범위운동 개시기 ]

       

      환부의 열감, 종창, 통증의 종류 (안정시통, 운동시통, 부위, 빈도), 지각장애, 근육긴장, 관절가동범위 (팔꿉관절 굽힘/평, 아래팔 옆침/뒤침), 능동운동 때의 인접관 절의 보상운동의 유무 등을 평가합니다.

      특히 관절가동범위운동에 있어서는 팔꿉관절 굽힘/폄을 중심으로 시행합니다.

      아래팔 엎침/뒤침은 비틀림 스트레스에 의해서 재골절을 초래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시작은 주치의와 상의해서 느리게 시행합니다.

      통증의 부위를 앞부분, 뒷부분, 안쪽부분, 가쪽부분, 노쪽부분으로 나눠서 평가합니다.

       

       

      관절가동범위운동

      환자의 통증이나 가동범위를 확인하면서 능동, 능동보조운동으로 실시합니다.

      고정을 제거한 초기는 근육활동도 불충분하고 가동범위 제한이나 공포심 등으로 관절 운동 때에 쓸데없는 근육활동이 일어나 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능동보조운동으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운동을 할 때에는 통증의 부위나 끝느낌이나 가동범위 제한의 원인, 뼈의 정렬도 고려하면서 시행합니다.

      능동운동으로 시행시키는 경우에는 다른 관절의 보상운동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합니다.

       

      끝느낌 (End feel)

      - 팔꿉관절 굽힘 : 보통은 아래팔과 위팔의 앞면 힘살(근복)끼리의 압박에 의한 연부조직성의 끝느낌입니다.

      다만 힘살이 위축하여 있는 경우는 자뼈 갈고리돌기와 위팔뼈 갈고리오목과의 충돌에 의한 골성의 것이 됩니다..

      또한 뒤쪽 관절 주머니의 흉터화나 위팔세갈래근의 단축이 일어나고 있는 경우는 그 긴장에 의한 연부조직성의 끝느낌을 느낍니다.

      팔꿈치폄에 보조적으로 작용하는 손목관절 굽힘근군의 근육긴장의 체크도 필요합니다.

      - 팔품관절 폄 : 보통은 팔꿈치머리와 팔꿈치오목과의 골성의 끝느낌입니다.

      또한 앞쪽 관절 주머니나 곁인대, 위팔근, 위팔두갈래근도 관여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에 반흔화나 긴장이 심한 경우는 보다 강하게 연부조직성의 끝느낌을 느낍니다.

      팔관절 굽힘에 보조적으로 작용하는 손목관절 바깥쪽굽힘근군의 근육긴장의 체크도 필요합니다.

      - 아래팔 옆침 : 보통은 원위 노자관절의 등쪽노자인대, 뼈사이막. 네모인대 (방형인대). 뒤침근, 위팔두갈래근에 의한 연부조직성의 끝느낌입니다.

      - 아래팔 뒤침 : 보통은 원위 노자관절의 바닥쪽노자인대, 뼈사이막, 네모인대, 원회내근, 방형회내근에 의한 연부조직성의 끝느낌입니다.

       

       

      팔꼽관절 가동범위 제한의 원인

      - 굽힘 구축 : 뒤쪽 관절주머니의 흉터화. 위말세갈래근의 단축, 안쪽결인대 뒤 빗섬유 (내측측부인대 후사주섬유)의 비후 및 흉터화

      - 폄 구축 : 앞쪽 관절주머니의 흉터화, 팔꿉관절 굽힘근군의 단축

       

       

      팔꿉관절 아래팔 운동에 있어서 인접관절의 보상운동

      보상운동을 수반하는 운동은 잘못된 근육수축 패턴을 학습해 버려 팔꿉관절만이 아니라, 인접관절에도 기계적인 부담을 줍니다.

      - 팔꿉관절 평 : 어깨뼈의 앞경사

      - 팔꿉관절 굽힘 위치에서의 아래팔 엎침 : 어깨관절의 벌림

      - 팔꿉관절 굽힘 위치에서의 아래팔 뒤침 : 어깨관절의 모음

      - 팔꿉관절 폄 위치에서의 아래팔 엎침 : 어깨관절의 안쪽돌림

      - 팔꿉관절 폄 위치에서의 아래팔 뒤침 : 어깨관절의 가쪽돌림

      - 팔관절의 기능적인 굽힘 가동범위가 필요한 동작 (세수동작, 화장, 식사동 작 등) : 손목관절의 바닥 쪽 굽힘 (목의 굽힘, 머리의 평으로도 보상)

       

       

      [ 근력강화운동 개시기 ]

      관절가동범위운동

      관절가동범위 제한의 확대는 원인이 되는 근육의 단축이나 관절주머니의 흉터화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지속적 스트레칭이나 수동운동을 시행해야 합니다.

      아래팔 엎침뒤침 제한에 대해서는 고정시기에 아래팔 뼈사이막의 유연성이 저하하여 있는 일이 많고 압박에 의한 직접 스트레칭도 아래팔의 가동범위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근력강화운동

      - 능동 , 능동보조운동 시작 때부터 시행하는 근육수축의 재교육

      - 파워로의 근력

      - 각 근육사이 및 팔 전체의 협동성의 획득을 의식하면서 시행하는 것이 있습니다.

      과도한 저항운동은 다른 관절의 보상운동을 야기하기 쉽기 때문에 저항은 환자의 근력, 통증에 상응하여 점증적으로 시행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