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농이의 시시콜콜한 이야기

다양한 생활 정보를 공유합니다

  • 2024. 3. 23.

    by. 강부농

    목차

      반응형

       

      무릎인대 손상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무릎인대 손상의 물리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릎 인대 부위별 손상 종류에 대해 보겠습니다.

      앞십자인대 (ACL) 손상

      앞십자인대 (anterior cruciate ligament : ACL) 손상은 교통사고나 접촉형 스포츠 등에서 무릎의 외반과 가쪽돌림, 내번과 안쪽돌림, 과다젖힘이 강제되어 부상하는 접촉형 손상 (contact injury)과

      스포츠 활동 중에 있어 서의 점프의 착지나 급정지, 방향전환 등에 의해서 손상되는 비접촉형 손상 (non-contact injury)이 있습니다. 

      부상 직후는 관절 내 출혈과 열감, 종창, 통증 등의 염증증상이 인지되고, 관절불안정성에 의한 무릎 꺾임(giving way)을 일으켜 스포츠활동만이 아니라, 일상생활에도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있습니다.  ACL은 자연치유능력이 낮기 때문에 치료에 재건술이 선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뒤십자인대 (PCL) 손상

      뒤십자인대 (posterior cruciate ligament : PCL) 손상은 넘어짐 등 무릎의 굽힘 위치에서 정강뼈 앞면을 타박하여 부상하는 일이 많습니다. 부상 직후는 관절종창을 수반하는 급성의 염증증상을 나타냅니다. 

      무릎 굽힘 위치에서 종아리의 뒤쪽 가라앉음 (posterior sagging)이나 뒤쪽으로의 관절 불안정성을 나타내지만, 단독 손상이라면 관절 고정이나 하중면제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PCL 손상의 치료는 다른 인대손상이나 반달손상, 관절연골손상 등의 합병증이 없으면. 보존요법이 먼저 선택되지만 통증이나 관절수종 등이 지속되며 보존요법에 저항하는 경우는 재건술을 시행합니다.

       

      안쪽 곁인대( MCL ) 손상

      안쪽 곁인대손상 (medial collateral ligament : MCL) 은 무릎관질에 대해서 외반이나 종아리 가족돌림이 강제되어 발생합니다.

       MCL 손상은 자연치유능력이 높기 때문에 완전파일에 의한 외반동요가 뚜렷한 경우에도 단독손상이라면 보존요법이 기본입니다. 

      ACL 손상을 포함하는 부합손상이라면  MCL이 보존적으로 치유된 다음에 ACL, 재건술이 시행됩니다.

      증상은 관절종창과 함께 무릎관절 안쪽 틈새, MCL 부착부분의 압통, 무릎관절 외반동요성이 나타납니다.

       

       

      무릎 인대 손상 물리치료
      무릎 인대 손상 물리치료

       

      무릎인대 손상 물리치료 

      우선 무릎관절의 열감, 종창, 자발통, 압통, 넙다리부분의 근육위축, 무릎뼈의 가동성 을 평가합니다.

      관절 불안정성이나 무릎의 관절가동범위, 근력의 평가는 재건인대나 손상인대에 부하가 가해지기 때문에 회복과정에 충분히 배려하여 실시해야 합니다.

       

      관절 가동범위 운동

      장구 장작 시기부터 종아리나 다리 뒷면근육의 스트레칭을 시작합니다. 

      또한 슬개대퇴관절의 가동성을 획득하기 위해 무릎뼈 가동술 (patella mobilization)도 조기부터 실시합니다.

      무릎의 굽힘-폄의 가동범위운동은 손상된 인대나 재건인대에의 스트레스를 회피하면서 시행해 줍니다.

       

      PCL 손상의 부상 후 3주까지는 종아리 근위를 베개 등으로 지지하고, 정장뼈의 뒤쪽으로의 가라앉음 (sagging)을 제동 하면서 무릎 굽힘 90°를 목표 운동합니다.

      부상 후 3개월까지는 굽힘 135° 로 억제하고, 이후는 전체 가동범위의 획득을 목표로 합니다.

       

      MCL 손상의 부상 조기는 무릎의 외반이나 종아리의 가쪽돌림을 억제하면서 시행합니다. 필요에 따라서 외반동요를 억지할 수 있는 장구를 장착하여 통증의 유무를 확인하면서 가동범위운동을 시행해 줍니다.

       

      근력강화운동 

       

      가동범위의 개선이나 인대에 대한 부하를 고려하여 안전한 운동범위 내에서 비하중 위치 (OKC)와 하중 위치 (CKC)에서의 훈련을 병행하여 실시합니다.

      OKC에서의 무릎을 펴는 근력훈련에서는 넙다리네갈래근의 수축력에 의해서 무릎의 폄 영역에서 앞쪽 전단력이 증대합니다.

      이 때문에 ACL 재건술 후 조기에는 종아리의 근위 부분에 대해서 저항을 가하여 앞쪽 전단력의 경감을 도모하고, 폄운동범위를 45에서부터 단계적으로 확대하여 갑니다.

      스쿼트 동작은 몸통 앞경사를 시키고, 넙다리네갈래근과 뒤넙다리근육의 동시수축을 확인하면서 실시한다. 또한 전후방향이나 옆쪽으로의 다리를 뻗기 (reach) 및 계단의 오르내리기는 하중위치에서의 구심성 수축 및 원심성 수축의 훈련으로서 다리의 지지성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앞쪽이나 옆쪽으로의 중력중심 이동에 의해서 다리의 제동과 박차는 기능을 강화할 목적으로 런지를 시행해 줍니다.

       

      몸통 안정화 (core stability) 훈련

       

      염증증상이 진정된 시점부터 가급적 조기에 시작합니다. 재건인대나 손상인대에 대한 스트레스에 유의하고, 측방 교각 자세 (side bridge) 등의 몸통, 다리이음의 안정화를 목적으로 훈련을 실시합니다.

       

       

      스포츠동작 훈련 

       

      유연성이나 근력이 순조롭게 회복하고 보통의 보행이 문제없이 가능해지면 달리기, 스텝워크, 점프 등의 스포츠활동에 필요한 훈련을 단계별로 시작합니다.

       

      달리기는 조깅부터 시작하여 거리와 속도를 서서히 증가시키고 정지동작은 저속 달리기에서부터 시작하여 서서히 빠른 저항으로 진행시켜 갑니다.

      스텝 동작은 완전하중이 가능해진 시기부터 다리의 정렬에 배려하면서 pivot turn, crossover step, open side step을 단계적으로 진행합니다.

      점프의 착지동작은 몸통의 앞경사를 충분히 취하여, 다리에 의한 충격완충 동작을 충분히 학습합니다.

       

      테이핑과 보장구

       

      방향전환 등의 무릎을 비트는 동작에서는 통증이나 불안감을 호소하는 경우에 테이핑을 시행합니다.

      ACL 손상에 대한 기능적 무릎 장구는 정강뼈의 앞쪽 끌어내기와 종아리의 돌림을 제동 할 목적으로 회복기나 스포츠에 복귀할 때의 재발예방에 사용됩니다.

      MCL 손상에 대해서는 무릎 외반, 가족돌림의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해 양쪽 지주가 부착된 무릎 지지기구가 사용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