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반응형근육 손상 질환에 대해 이해하고 근육 손상의 물리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육손상의 종류
근육좌상
충돌, 구타 등 직접전달 외력에 의한 강한 타박에 의해서 근섬유가 손상되어 근육 내 및 근육사이에 출혈은 일으킵니다.
발병 직후에는 열감, 종창, 통증, 근육연축이 인지되며 근육의 수축이나 신장에 의해서 통증이 증대됩니다. 또는 근육 내의 혈종에 의한 내압의 상승으로 타박 직후부터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통증은 심해지는 일이 많습니다. 종창이 심한경우는 혈관이나 신경의 압박에 의한 구획증후군을 나타내고 수술의 적응이 됩니다. 근육좌상의 발생빈도는 대퇴사두근이나 하퇴삼두근이 많고 초기치료가 적절하게 시행되지 않으면 손상부위의 흉터 조직이 석회화하여 골화성근염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근섬유 파열
급격한 장력이 근육에 작용하여 근섬유 또는 근막에 손상을 초래한 상태이고 종창, 통증, 피하출혈, 압통, 신장통, 수축 시 통증, 근육의 함몰 등의 증상을 나타냅니다.
부상기전은 발휘되는 근력보다도 강한 장력이 가해진 경우와 스포츠로 대표되는 점프나 대쉬 등의 급격한 동작에 의해서 발생하는 경우로 나뉘며 햄스트링, 대퇴직근, 비복근에 잘 발생합니다.
근섬유의 파열은 응급처치나 재활이 적절하게 시행되지 않으면, 통증 등의 후유증이나 재발의 위험성도 높아지게 됐니다.
@ 근섬유의 파열 요인은 유연성 저하, 피로, 근력저하, 근력의 불균형등을 들 수 있습니다
@ 햄스트링의 파열은 대퇴이두근이 경골신경과 비골신경에 의해 2중 지배를 받고 있다는 것도 하나의 요인이라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근육 손상에 대한 물리치료 근육 손상 질환별 물리치료
근육 손상 질환 중 대퇴사두근 좌상과 햄스트링 근섬유의 파열에 대한 물리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육 손상 평가
손상부위의 피하혈종, 종창, 함몰, 압통, 신장통을 확인하고, 문진 등의 정보와 합쳐서 염증의 회복단계를 평가합니다.
또한 동시에 대퇴부와 종아리부분의 둘레길이, 무릎관절 가동범위, 근육 긴장검사, 근력을 통증이 유발되 지 않는 범위에서 평가합니다.
RICE 처치
부상 직후는 근육좌상에 의한 출혈이나 혈종의 확대를 억제하기 위해 RICE 처치를 해줍니다.
[R : rest (안정), I: ice (냉각), C : compression (압박), E : elevation (올림)]
를 24 시간에서부터 72시간 실시합니다.
근육좌상에서는 유연성 저하를 최소한으로 그치게 하기 위해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 단계적으로 근육이 신장되는 자세를 취하게 하지만 통증이 격렬한 경우는 장구로 고정하며 목발 등으로 하중면제 하여야 합니다.
관절가동범위운동
1) 넙다리네갈래근 좌상
급성 염증이 진정되면 초음파나 와류욕, 핫팩 등으로 통증억제를 도모하여야 하고, heel sliding, 끝에 걸터앉은 자세에서 종아리의 자체 중량을 이용한 능동보조운동, 엎드려 누운 자세에서 무릎 굴곡운동을 시행합니다. 근육이 경결부위에는 도수나 패드에 의한 압박이 효과적입니다.
대퇴 사두근의 근긴장이 항진하여 있는 경우는 길항근인 햄스트링의 수축에 의한 상반억제( 길항근을 수축하게 되면 주동근이 이완함) 를 이용해서 이완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무릎 굴곡 각도와 통증을 평가하면서 에르고미터도 시작합니다.
2) 햄스트링의 파열
RICE 처치가 종료한 시점에서 끝에 걸터앉은 자세에서 무릎의 신전 능동운동을 시작합니다. 에르고미터는 햄스트링에 과도한 신장이 가해지기 어려우므로 스트레칭 전의 워밍업으로서 효과적입니다. 정적인 지속신 장은 부상부위의 통증이 출현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해줍니다. 근육 수축 시 통증이 소실하면 PNF 기법을 응용한 스트레칭을 실시합니다(수축-이완)
특히 스포츠선수에 대해서는 재발예방을 위해 워밍업이나 쿨링다운으로 스트레칭을 꼼꼼히 시행해야 합니다.
근력강화운동
안정 때의 통증이나 근육의 수축 때의 통증이 소실하면 leg extension을 시작합니다. 끝에 걸터앉은 자세에서 무부하에서부터 시작하고, 단계적으로 고무 튜브나 추를 사용한 높은 부하에서의 훈련으로 옮겨갑니다. 부분하중이 가능해지면 벽을 이용 한 leg press나 자전거 근육힘기록기를 시작하고, 발바닥으로부터의 감각입력을 촉집합니다.
완전하중이 가능해지면 스쿼트, 다리의 뻗기 동작, forward lunge와 side lung를 해주는데 다리가 접지 할 때의 제동력과 차고 나갈 때의 추진력 강화에 유용합니다
몸동의 안정화 ( core stability ) 훈련
다리 상해의 환자는 하중 면제나 통증 회피등의 요인에 의해서 중력중심의 전위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자세의 비대칭이나 자세조절능력의 저하를 나타내는 일이 많습니다.
선 자세나 보행에서의 정성성 획들을 위해 하중면제 기간 중부터 앉은 자세에서의 조절 능력 개선이나 골반대로부터 몸통 안정화를 목적으로 한 훈련을 해주어야 합니다.
스포츠 동작훈련
스포츠 경기의 복귀를 목적의 훈련은 온전한 하중이 가능해진 다음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합니다. 유연성이나 근경의 회복을 보면서 난이도가 낮은 것부터 높은 훈련으로 옮겨갑니다.
테이핑과 보장구
근육 연축이나 근육의 유연성 저하에 대해서 엮어 올리기 테이프로 손상부위에 압박을 가해줍니다. 대퇴부 보호대는 압박에 의한 근육 활동의 촉진이나 환부의 보온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ADL 지도
대퇴사두근 좌상에 의한 굴곡 가동범위의 제한이 잔존하는 경우에는 웅크리고 앉기나 바닥에서부터 일어서기 동작을 지도해 주어야 합니다.
계단 오르내리기는 다리의 지지성의 회복정도를 확인하면서 시행합니다.
계단을 내려올 때는 난간을 잡고, 원심성 수축에 의한 무릎의 조절능력을 획득시켜 줍니다.
반응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형성 무릎 관절증 / 인공 무릎 관절 전치환술(TKA) 물리치료 (0) 2024.03.23 슬개골 골절의 물리치료 (0) 2024.03.20 외상성 견관절 탈구 물리치료 (0) 2024.03.19 비특이적 허리통증 물리치료와 허리통증 자기관리 (0) 2024.03.15 비특이적 허리통증 물리치료 - 검진, 평가 (0) 2024.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