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농이의 시시콜콜한 이야기

다양한 생활 정보를 공유합니다

  • 2024. 3. 8.

    by. 강부농

    목차

      반응형

      노인에게 호발 되는 질환과 노인 물리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에는 단순한 질병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하고 사회적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고 원활한 일상생활이 가는 한 것을 건강상 상태라고 봅니다. 또한 사람의 기대 수명이 연장되면서 손상후 다시 회복하거나 최대 기능의 일상생활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치료사의 도움이 필요한 요구가 더 늘어날 것입니다.

      노인에게 호발되는 질환과 노인 물리치료
      노인 물리치료

       

      노인에게 호발 되는 질환은?

      골관절염의 물리치료

      골관절염은 연골의 퇴행적 특징이 나타나는데 척추, 무릎, 손, 고관절에 흔히 침범됩니다. 골관절염은 움직일 때 통증을 동반하고 관절을 오래 사용하여 연골이 파괴되는 퇴행적 질환입니다. 초기에 골관절염이 발생하면 해당 관절 부위의 국소 통증이 나타나고 전신증상이 나타나는 류머티즘 관절염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골관절염은 관절 가동범위의 감소나 부종 압통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무릎관절 전치환술(TKA)과 고관절의 전치환술(THA)이 노인에게 시행하는 대표적 수술인데  수술 전 후의 물리치료가 중요합니다. 수술 전에 물리치료사는 노인에게 유연성과 근력강화와 관절가동범위 운동을 통증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시행하고 관절운동을 수반할 때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등척성 운동을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수술 전에 수술을 위한 최적의 상태를 만들어야 합니다. 수술 부위 이외에 다른 신체적 문제가 없는지 파악하고 수술 후 필요한 운동 동작(부분 하중 연습이나, 침대에서 일어나는 연습 등)들을 미리 학습하고 필요한 보조 장비를 준비해야 합니다. 수술 후에는 관절가동범위 운동, 근력강화운동, 침대에서 일어나기, 선 자세 보행연습, 계단 오르기 연습 등 동작의 훈련이 필요합니다.

       

      골다공증의 물리치료

      골다공증은 뼈의 양이 감소하고 새로운 뼈세포의 생성이 감소하는 결과로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골절이 일어나기 쉬는 상태를 말하는데 남성보다는 여성에 흔히 나타납니다. 특히 폐경기 이후 여성, 투약, 흡연, 알콜, 비활동이 원인입니다. 대부분 증상은 없지만 골절이 일어나기 쉬운 상태라는 것이 가장 문제입니다. 낙상으로 인한 손목이나, 고관절, 척추 골절이 자주 발생합니다. 

       

       고관절 골절의 물리치료

      골다공증 환자 중 사고로 넘어졌을 때 고관절 골절이 많이 발생하는데 65세 이상의 고관절 골절 노인 환자 중 사망률이 25프로에 달한다고 합니다. 치료 전 골절전의 생활에 대해 듣는 것이 중요한데 고령자의 경우 신체능력의 차이나 치매등으로 인한 인지 능력의 차이, 합병증 등이 재활 프로그램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골다공증을 동반한 경우 골절부위의 고정성이 불안정한 경우가 많아 충분히 고정성을 얻은 후에 관절가동범위 운동이나 근력강화 운동 선자세, 보행연습 일상생활 훈련 등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퇴원 시의 주의사항으로는 낙상으로 인한 부상이 재발될 수 있는 위험성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그 예로는 난간설치, 미끄럼 방지등이 있습니다. 

       

      당뇨의 물리치료

      당뇨는 인슐린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인슐린 작용이 불충분한 것으로 포도당을 지방조직, 근육조직, 간세포에 전달하는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신체 여러 부위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질환입니다. 미국의 경우 60세 이상 인구 중 10~20프로는 당뇨가 있다고 합니다. 인슐린 작용이 불충분하면 포도당이 세포로 전달되지 않고 혈액 속에 축적되는데 오랜 시간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신체에 여러 합병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합병증의 종류에는 신부전, 당뇨성 신경병, 망막병증, 피부궤양 등이 있는데 이러한 합병증 중 상당수는 물리치료가 필요합니다. 발의 궤양의 물리치료로는 수치료, 상처 관리, 손상조직 제거 등이 있고 심한 합병증으로 절단을 하게 된 경우에는 남은 절단지의 관리, 의족이나 보조기 사용 훈련, 보행 훈련등의 물리치료가 필요합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물리치료

      류마티스 관절염은 대표적 자가 면역계 질환으로 손과 손목 발과 발목 등 여러 관절에 만성적인 염증이 나타납니다. 남성보다 여성에 흔하며 40대~60대 사이에서 호발 합니다. 골관절염과 달리 아침에 관절이 뻣뻣해지고 병이 더 진행되면 활동하지 않을 때에도 통증이 있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관절이 굵어지는 것이 특징이고 열감과 발적이 있기도 하고 관절이 변형되다가 점점 관절이 파괴됩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물리치료로는 통증감소를 위해서 핫팩이나 파라핀 같은 온열 치료를 하거나 관절 가동성 증가 치료, 지팡이나 워커 등을 이용한 보행 훈련을 통해 보행 시 발생하는 통증을 줄이는 물리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노인 물리치료의 방향성

      노인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신체 활동의 저하로 인해 근력, 지구력, 심폐능력이 낮아지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로 인해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는 것입니다. 노인물리치료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침대에서 일으키는 것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노인 물리치료를 시행하는 물리치료사는 생리적인 노화 과정에 대해서 지식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노인의 기능적 제한과 장애를 예방하고 최소화할 수 있고 교육할 수 있는 전문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러 훈련을 통해 목욕하기, 요리하기, 쇼핑하기 옷 입기 등과 같은 일상생활동작(ADL)을 원활하게 하고 최적화된 프로그램의 반복훈련으로 신체 활동을 증가시켜 근력과 지구력을 향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